티스토리 뷰

 

공공요금 인상폭으로 인해 물가상승을 체감하고 있는 요즘.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실감되는데요.

이런 고물가 시대에 국민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지원혜택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에서 만든 주요 정책수단인 알뜰교통카드제도인데요. 오늘은 신청방법부터 샅샅이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 알뜰교통 홈페이지

🚍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란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만큼 대중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이동하는데 드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에서 만든 정책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합니다. 추가로 카드사의 추가할인혜택을 포함해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알뜰교통카드제도는 2017년 4월 교통비 30% 절감 공약이 제시된 후, 2020년 1월 전국에서 본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현재는 173개 시. 군. 구에서 53만 명이 이용 중인 정책입니다. 청년교통비지원 정책과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월 최대 약 1만 원~4만 원까지 절감(적립 후 환급 혹은 자동청구할인) 할 수 있고, 카드사의 추가할인혜택(전체의 10%, 월 최대 4만 원)을 받을 수 있어서 생활비 줄이기 꿀팁 중 하나이죠.

ⓒ 알뜰교통 홈페이지

🚍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 적립

국민의 교통비 절감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사업으로 청년교통비와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2021년 설문기준으로 1인당 월 14,172원을 절약할 수 있었고,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왔는데요. 특히 대학생, 사회초년생, 직장인, 청년 등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시민들에게 인기가 많은 정책입니다.

2023년 1월 청년교통비지원 정책을 새롭게 설립하였고, 3월부터는 저소득층 대상 마일리지 적립액 증가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7월부터는 적립 상한 횟수를 상향 적용하는 정책으로 수정될 예정에 있습니다.

 

ⓒ 알뜰교통 홈페이지

🚍 청년교통비지원

일반인의 경우 1회 거리비례 요금제가 2,000원 미만일 경우 1회 250원을 적립하여 월 최대 11,000원, 3,000원 이상일 경우 450원을 적립하여 월 최대 19,800원의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지난 1월 청년교육비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만 19세~34세 청년층의 마일리지가 신설되었습니다. 1회 적립액이 일반층에 비해 100원~200원 높은 350원~650원으로 월 최대 15,400원~28,600원을 마일리지로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3월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인 저소득층의 경우 기존 500원~900원이었던 1회 적립액이 700원~900원으로 상향되어 월 최대 30,800원~48,400원까지 마일리지 적립을 받을 수 있도록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여기에 일반층, 청년층, 저소득층 구분 없이 민간 카드사의 전월 실적 충족 등을 통해 교통비 10% 할인을 받을 수 있어서 추가혜택이 가능합니다. 또한, 현재는 월 44회까지만 적용되는 마일리지 적립 횟수가 상향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3년 7월부터는 60회로 적립 횟수가 상향되며, 추가 절감되는 비용이 최대 66,000원으로 높아져 고물가시대 경제적 부담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는 추가 마일리지 지급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에 사용할 경우 기본 마일리지에 100%가 추가됩니다. 물의 날, 식목일, 지구의날, 바다의 날, 환경의 날, 푸른 하늘의 날, 보행자의 날 등 7개 환경. 교통 관련 기념일에도 기본 마일리지에 100%가 추가 적립됩니다.

 

 

🚍 청년교통비지원 신청방법

https://alcard.kr/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alcard.kr

 

1. 알뜰교통카드라고 검색하면 공식홈페이지가 나오는데, 카드사마다 서비스가 다르므로 추가적인 혜택이 자신과 맞는 카드상품을 선택한 후, 알뜰교통카드 앱을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 원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줍니다. 이용을 위해서는 핸드폰 앱 다운로드는 필수입니다.

2. 앱 다운 후, 회원가입한 다음 신청한 카드가 오면 등록해야 합니다. (1달 이내 발급받은 등본이나 초본첨부)

 

🚍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단순히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카드를 찍는 것보다 훨씬 번거롭긴 하지만, 혜택에 대해서 중점을 둡시다.

1.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이용하기 전에 출발한 지점에서 출발버튼을 누르고, 걷거나 자전거 등을 활용해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정류장으로 이동합니다.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에는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여야 마일리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승차 시 카드를 태그 해줍니다.

2. 대중교통을 이용해 하차 시 카드를 찍고, 목적지에 도착한 다음에는 도착버튼을 눌러줍니다. 반드시 하차 후 도착지점에서 도착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 알뜰교통카드의 종류

알뜰교통카드 사업에 참여 중인 지자체에 주민등록주소지를 두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국민이라면 발급받아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합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가능지역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충북(청주, 옥천, 제천, 충주), 충남,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경산, 안동), 경남, 강원(춘천, 강릉, 원주)

2023년 7월부터는 알뜰 교통카드의 지원혜택과 사용 가능한 카드사가 총 6개사에서 11개사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카드사에서는 알뜰교통카드를 출시하게 되니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기존 카드를 등록해서 사용할 수 없고 알뜰교통카드를 신규로 발급 후 등록한 다음 사용해야 한다는 점과, 신규로 발급받아야 하는 알뜰교통카드(신용)는 연회비와 전월실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기존카드사 : 신한, 우리, 하나, 로카, 티머니, DBG

***신규예정카드사 : 국민, 농협, BC, 삼성, 현대

ⓒ 알뜰교통 홈페이지_신용카드
ⓒ 알뜰교통 홈페이지_체크카드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대중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 시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이동한 거리(보행, 자전거)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지급(공공재원, 20%)과 카드사(민간, 10%)의 추가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를 발급받고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 후 사용가능하며, 대중교통을 타러 가기 전 앱을 실행시켜야 거리를 계산하여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측정

*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측정

* 카드사(신용카드 및 티머니)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 정보 확인된 후,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적립

* 매월 환급 또는 자동청구 할인

 

🚍 알뜰교통카드로 매월 나가는 교통비 줄이는 방법

ex1) 27세 청년이 2023년 3월에 우리 카드 알뜰교통카드로 지하철을 최대 44번 이용했을 경우,

- 3월 사용한 금액 : 1,250원 x 44회 = 55,000원

- 우리 카드 알뜰교통카드 혜택(10% 청구할인) = 55,000원 x 10% = 5,500원 청구할인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회당 500원) = 500원  x 44회 = 22,000원

- 3월 총 사용금액 = 55,000원 - 5,500원 - 22,000원 = 27,500원

 

댓글